
CELL WEEK 06
갈등… 관계를 원활하게 하는 촉진제!!
1.
겨울이 지나고 봄이 다가올 때
사람들은 움추렸던 몸과 마음을 활짝 폅니다.
옷도 가벼워지고 밝아지며 새로운 따뜻함을 누리기 시작합니다.
그런데 이때 갑작스럽게 찾아와 어려움을 주는 현상이 있습니다.
바로 꽃샘추위입니다.
꽃이 필 무렵 봄의 길목에서 나타나는 꽃샘추위는 겨울 추위처럼 매서운 바람을 몰고 와 사람들을 아프게 합니다.
이 시기를 통과하고 나서야 아름다운 꽃이 활짝 피는 봄을 맞이하게 됩니다.
2.
지금은 셀 모임을 하면서
구성원이 서로를 알아가고 친밀한 교제를 나누기 시작할 무렵입니다.
새로운 만남에 기대가 있고,
서로의 장점들을 보며 즐거워합니다.
처음에 만났던 어색함과 긴장들이 풀리고 마음이 열려서 함께 더 한층 가까이 다가서게 됩니다.
그런데
이렇게 관계의 어색하고 추운 날들은 지나가고
따뜻한 봄을 맞이할 이때 쯤에
셀 안에 꽃샘추위가 한 차례 찾아올 수 있다는 것을 알아 두어야 합니다.
이제 우리의 만남이
그저 교제에 멈추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이 부르신 성도로서 성장의 길로 나아가야 하는 본격적인 헌신이 필요한 때 인데
이 때
생각이나 성격의 차이 탓에 상대방의 언행에 불편함을 느낍니다.
마음을 열고 속을 보여주는 과정에서 예상치 못한 오해를 사기도 합니다.
이러한 시기를 어떻게 보내느냐에 따라
셀의 성패가 결정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입니다.
셀 안에서 갈등이 생겼다고 해서
셀이 잘못 되었다거나 서로를 잘못 만났다고 생각해서는 안 됩니다.
차이는
나쁜 것이 아니라 개성일 뿐입니다.
셀 구성원 간의 갈등은
공동체가 성숙해지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바르게 하나님께서 부르신 길로 가고자 할 때 생기는 성장을 위한 성장통을 겪게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문제는
갈등 그 자체가 아니라 갈등을 다루는 방법에 있습니다.
3.
사소한 오해로 생긴 갈등을
잘못 다루었기 때문에 셀이 분열될 위기에 처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반면에 갈등을 지혜롭게 다룸으로써
소그룹이 이런 위기의 순간에 한 단계 발전한 사례도 많습니다.
그러니까
문제를 어떻게 다루느냐에 따라 결과가 달라집니다.
그러므로 셀 안에서 일어나는 갈등을 가볍게 여기지 말고 발전의 기회로 삼기 위해 갈등을 효과적으로 다루는 방법을 알아야 합니다.
댈러스 신학교의 부총장이며
기독교 교육학 주임교수인 케네스 O. 갱겔 박사는
갈등을 지혜롭게 다루기 위해 먼저 상대방의 말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고 말합니다.
대부분의 사람은 경청에 서툽니다.
그러나 듣는 것은 말하는 것에 비해 훨씬 쉽게 배울 수 있는 기술입니다.
게다가 수요도 상당히 많습니다.
경청할 줄 아는 사람은 공동체 안에서 관계를 촉진하는 윤활유 역할을 합니다.
적대적인 관계를 옹호적인 관계로 바꾸고 서로를 이해할 수 있게 해주며, 가치를 끌어올리고 공동체 내의 평화적인 분위기를 조성합니다.
4.
그렇다면 경청하는 기술을 어떻게 배울 수 있을까요?
케네스 O. 갱겔 박사는 다음의 9가지 방법을 제안합니다.
a. 상대방의 관심 분야가 무엇인지 찾아보십시오.
b. 당신의 결정을 잠시 유보하십시오.
c. 상대방 특유의 사고방식이나 행동 양식을 파악하십시오.
d. 융통성을 가지고 상대방의 말에 귀를 기울이십시오.
e. 듣는 수고를 감내하십시오.
f. 산만한 분위기를 피하십시오.
g. 관찰력을 키우십시오.
h. 선입견을 없애고 마음을 늘 열어 두십시오.
i. 말이 아닌 마음의 소리를 들으십시오.
문제를 일으키는 사람이
성령의 도구로 쓰임 받는 곳이 셀입니다.
예수님을 박해하던 사울을 변화시킨 예수님의 마음을 기억하십시다.
누군가가 관계를 원활하게 하는 촉진제 역할을 감당함으로써 셀 안에서 아름다운 봄을 맞이할 수 있기를 간절히 소원합니다.
5.
갈등기가 있는 것이 건강한 관계입니다.
갈등은
서로 가까워지려고 할 때…
서로 부르신 사명의 길로 나아가기 위해 진실해지려고 할 때 생기는
당연한 열매입니다.
길가에 지나치는 사람과 갈등을 일으키지 않듯이
서로에게 관심을 기울이지 않고 별로 신경을 쓰지 않으면 아무런 갈등이 없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주 안에서 한 형제와 자매가 되었고 하나님의 자녀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아무 생각없이 종교생활을 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가 서로에게 격려자가 되며 예수님의 제자가 되게 하는 귀한 사명을 가지고 만나고 있습니다.
우리는 그 부르신 길로 나아가야 합니다.
그러므로
갈등을 두려워 마시고
갈등을 바르게 다루는 방법을 배워야 합니다. ㅋㅋ
이미 반복적으로 경험하고 있는 우리의 사역의 순서인데
잘못 다루면 항상 여기에서 관계가 금이 가고 사역이 무너지는 것을 봅니다.
잘 다루어 가십시다.
갈등기를
하나님의 사랑과 신뢰와 격려와 함께 포기하지 않는 마음을 가지고 극복하면
건강한 하나님의 가족으로 성장하며
수많은 열매를 낳는 놀라운 축복을 누리게 됩니다.
이 한 주간 힘들내시고
더더욱 주께서 하나되게 하신 귀한 관계 속에서
생명의 열매들이 넘치도록 하십시다.
하루에 한번만
먼저 상대를 배려하는 삶을 산다면
놀라운 기적과 같은 사랑의 관계로 풍성해질 것입니다.
아자자
홧팅
Melbourne CITY Church 2024
.
.
.
이곳에서 도전을 주는 글들은 “국제제자훈련원” 또는 “디모데성경연구원”에서 발행하는 글들을 활용하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구글맵에서 “멜버른 시티 한인교회”를 입력하면 정확한 지도가 보입니다.
https://melbournecitychurch.com.au/교회-방문하기/
.
#멜버른, #호주멜버른한인교회, #멜버른시티교회, #멜버른시티주일예배, #주일말씀묵상, #연대기적성경읽기, #개인묵상, #QT, #새벽기도, #역사적성경공부, #연대기적성경공부, #연대기성경, #온라인예배, #멜버른시티교회온라인예배